반응형 전체 글1810 API 가이드와 API 스펙 차이점 완벽 정리: 초보자를 위한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날씨 조회나 소셜 미디어 로그인을 할 때도 API가 동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API는 웹 트래픽의 83%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데요,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선 API 문서와 API 스펙을 제대로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오늘은 많은 개발자들이 헷갈려하는 API 가이드와 API 스펙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API 문서와 API 스펙의 차이API 가이드와 API 스펙은 비슷해 보이지만 목적과 작성 대상이 다릅니다.API 문서(API Documentation): API를 사용하는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API 사용 방법을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은 호출 파라미터, .. 2024. 9. 11.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 '제미나이' 통합... 크롬에서 바로 AI 채팅 가능 구글, 크롬 사용자들에게 제미나이 AI 챗봇의 직접 접근 기능 제공, 브라우저 통합으로 정보 접근성 강화구글이 크롬 브라우저에 AI 챗봇 '제미나이'(Gemini)를 통합했습니다.이제 사용자는 별도의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거치지 않고도 크롬 브라우저 내에서 직접 제미나이와 채팅할 수 있습니다.간편한 접근 방식벤처비트는 3일(현지시간) 구글이 제미나이를 크롬 브라우저에 통합하여, 사용자가 주소창에서 직접 제미나이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보도했습니다.사용자는 크롬의 주소창에 '@gemini'를 입력하거나 '@' 기호를 입력한 후 'Chat with Gemini'를 선택하면 즉시 제미나이와 채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은 별도의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2024. 9. 11. [고급] Dart 고급 주제 및 최신 트렌드/Null Safety와 Sound Null Safety Dart는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특히 Flutter 개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Dart의 최신 버전에서는 Null Safety라는 중요한 기능이 도입되었습니다.이 기능은 코드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런타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오류를 방지합니다.이 블로그에서는 Dart의 Null Safety와 Sound Null Safety 개념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1. Null Safety란?Null Safety는 변수가 null 값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를 명확히 정의하는 기능입니다.변수가 null 값을 가질 수 있다면, 코드에서 그 변수에 접근할 때 항상 null 체크를 해야 합니다.Null Safety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여 코드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여줍니다.2.. 2024. 9. 11. 일리야 수츠케버, "AI 스케일링 법칙 넘을 것…안전한 초지능 개발이 목표" SSI 창립자 수츠케버, 스케일링 가설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법과 초지능 안전성의 중요성 강조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 SSI(Safe Superintelligence) 창립자는 AI의 미래와 초지능 개발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밝혔습니다. 수츠케버는 스케일링 법칙(Scaling Law)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안전한 초지능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스케일링 법칙의 한계와 새로운 접근법수츠케버는 최근 인터뷰에서 현재의 AI 발전이 스케일링 법칙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스케일링 법칙이란, AI 모델의 성능이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다는 이론입니다.그는 “지난 10년 동안 딥러닝의 돌파구는 스케일링 가설의 특정 공식에 기반했.. 2024. 9. 11. 하이퍼라이트 '리플렉션 70B'의 성능 논란: “세계 최고” 주장에 대한 반박과 해명 하이퍼라이트의 최신 오픈 소스 모델, 리플렉션 70B의 성능 논란과 그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하이퍼라이트가 자사의 최신 오픈 소스 대형 언어 모델 ‘리플렉션 70B’를 발표하면서 “세계 최고 성능”을 주장한 가운데, 이 모델의 실제 성능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모델의 성능을 둘러싼 의견과 반박이 잇따르며, AI 커뮤니티와 분석가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하이퍼라이트의 주장과 발표하이퍼라이트는 리플렉션 70B를 12만8000 토큰 컨텍스트 창과 700억 매개변수로 출시하였으며, ‘반사 튜닝(Reflection Tuning)’ 기술을 적용해 추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스스로 수정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이 모델은 메타의 라마 3.1-70B를 미세 조정하여 구축된 것으로 알려져 있.. 2024. 9. 11. AI2, 고성능 저비용 모델 '올모E(OLMoE)' 출시: 최초로 MoE 방식의 오픈소스 공개 전문가 혼합(MoE) 기반의 대형 언어 모델, 올모E로 AI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다비영리 민간 AI 연구기관 앨런AI연구소(AI2)가 올모E(OLMoE)를 출시했습니다.이 모델은 전문가 혼합(MoE) 방식의 대형 언어 모델(LLM)로, 오픈소스 형태로 공개된 최초의 MoE 기반 모델입니다.AI2는 모델의 가중치, 훈련 데이터, 코드 등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AI 커뮤니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올모E의 주요 특징1. MoE 방식의 혁신올모E는 MoE(Experts Mixture of Experts) 방식을 활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합니다.MoE 방식은 대형 언어 모델을 여러 개의 전문 모델로 나누어, 필요할 때마다 특정 전문 모델을 활성화하여 사용하는 방식.. 2024. 9. 11. 이전 1 ···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30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