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산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관심이 급감하고 있다.
강력한 AI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개인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제기되면서, 보안 우려가 확산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일부 사용자는 웹 서버가 아닌 개인용 PC에 딥시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개인정보 수집 논란에 사용자 급감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1월 28일 19만 명을 넘겼던 딥시크의 일간 사용자 수(DAU)는 단 며칠 만에 7만 명대로 급락했다.
신규 설치 수도 같은 기간 동안 17만 건에서 2만 건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급격한 감소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결과로 해석된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범위는 경쟁 서비스인 오픈AI의 챗GPT나 구글의 제미나이(Gemini)보다 훨씬 광범위하다.
단순히 사용자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키 입력 패턴, 운영체제 정보, IP 주소, 시스템 언어까지 모두 수집한다는 점에서 특히 논란이 되고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개인정보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옵트 아웃(opt-out)’ 기능조차 제공되지 않는다.
정부 및 기업 차원의 차단 움직임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 정부 기관과 기업들은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고 있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를 포함한 여러 정부 부처는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KB국민은행, 하나은행, 현대·기아차, 대한항공 등 주요 기업들도 내부적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PC에서 구동하면 안전할까?
일부 개발자 및 연구자들은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시크를 개인용 PC에서 로컬로 실행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렇게 하면 AI 모델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구동되므로, 개인정보가 중국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딥시크의 대표 모델인 ‘R1’의 경우, 매개변수(parameter) 15억 개 버전은 약 2.3GB의 저장 공간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최상위 성능을 구현하는 6710억 개의 매개변수를 전부 활용하려면 무려 404GB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유튜브 등에서는 “내 PC에서 로컬로 딥시크 구동하기” 등의 튜토리얼 영상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로컬 환경에서도 딥시크의 ‘검열’ 문제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술매체 테크크런치(TechCrunch)는 로컬 버전의 딥시크를 테스트한 결과, 특정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답변을 제한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예를 들어, 미국 켄트 주립대 총기난사 사건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을 제공했지만, 1989년 천안문 사건에 대해서는 “대답할 수 없습니다”라는 답변을 반환했다.
개인정보위원회의 조사 착수
정부도 이 문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개인정보위원회는 지난 7일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및 보안 문제와 관련한 기술 분석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보안상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한 이용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딥시크의 보안 논란은 단순한 관심 저하를 넘어, AI 기술의 신뢰성과 윤리에 대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로컬 실행이라는 우회 방법이 일부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신뢰를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구독!! 공감과 댓글,
광고 클릭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Starting Google Play App Distribution! "Tester Share" for Recruiting 20 Testers for a Closed Test.
Tester Share [테스터쉐어] - Google Play 앱
Tester Share로 Google Play 앱 등록을 단순화하세요.
play.google.com
'Development News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AI, '챗GPT 검색' 전면 개방…"로그인 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 (0) | 2025.02.11 |
---|---|
머스크, 140조에 오픈AI 인수 제안...알트먼 "트위터나 파세요" 충격적인 반응! (0) | 2025.02.11 |
30달러로 딥시크 추론 능력 재현? UC 버클리의 혁신적 AI 연구! (3) | 2025.02.09 |
솔트룩스, '루시아 2.5' 13일 공개... "오픈 소스로 제공" (1) | 2025.02.09 |
맥/iOS FullMoon 앱 완전 정복! 나만의 LLM 비서 활용 가이드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