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FLUTTER462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Flutter 앱에 생체인증 구현하기: 안드로이드와 iOS에서의 도전기 안녕하세요, 50대에 Flutter 개발을 시작한 플러터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개발 중인 'Watch Over' 앱에 생체인증 기능을 추가하면서 겪은 경험과 해결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생체인증을 위한 여정의 시작처음에는 단순히 앱 잠금 기능에만 생체인증을 적용했었습니다. 사용자가 설정 메뉴에서 생체인증을 활성화하면, 앱을 다시 열 때 Face ID나 지문 인식으로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이었죠. 하지만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한 가지 중요한 기능이 더 필요했습니다. 바로 로그인 화면에서도 생체인증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습니다.발생한 문제점이 기능을 구현하면서 몇 가지 문제에 직면했습니다:1. Android 플랫폼 문제: 생체인증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습니다. .. 2025. 6. 5.
Flutter 개발자를 위한 MCP: 설치 방법과 주요 기능 Flutter와 Dart로 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강력한 도구입니다.MCP는 AI 코딩 어시스턴트와 Flutter 개발 환경을 연결하여 코드 분석, 자동 수정, 프로젝트 관리 등을 간소화합니다.이 블로그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MCP의 설치 방법과 주요 기능을 기술적으로 깊이 있게 다룹니다.MCP란 무엇인가?MCP는 AI 코딩 어시스턴트(예: Claude, Cursor, Windsurf)와 개발 도구 간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Flutter 개발자에게 MCP는 Dart SDK 명령어를 AI 도구와 통합하여 코드 진단, 자동 수정, 프로젝트 생성 등을 자연어로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2025. 5. 29.
💥Flutter에서 앱이 갑자기 꺼진다고요? runZonedGuarded()로 막아보세요! "앱이 에러로 꺼졌어요..." 이런 경험 있나요?Flutter 앱을 만들다 보면, 가끔 예기치 못한 에러 때문에 앱이 뻥! 하고 꺼질 때가 있어요.사용자는 당황하고, 우리는 디버깅도 어렵고 속상하죠.이럴 때 등장하는 슈퍼 히어로가 바로 runZonedGuarded()입니다!🧠 runZonedGuarded()란?Dart의 "Zone" 기능을 이용해"앱 전체"를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실행시키고,예외가 발생해도 앱이 꺼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함수입니다.📦 쉽게 말하면?"앱을 안전한 감싸기(wrapper)" 안에서 실행한다에러가 나도 앱이 뻗지 않고, 내가 지정한 코드에서 에러를 잡아 처리할 수 있다✅ 사용 방법Flutter 앱 시작 코드를 아래처럼 바꿔보세요.import 'dart:async';import .. 2025. 5. 20.
Flutter 앱에서 Firebase 프로필 이미지를 로컬에 저장해서 빠르게 불러오는 방법 ✨ 왜 이걸 해야 할까?Firebase에 프로필 이미지를 저장하면, 매번 인터넷에서 이미지를 받아와야 해서 앱이 느려지기도 해요.특히 네트워크가 느리거나 없는 환경에서는 이미지가 아예 안 보일 수도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할 거예요:✅ 처음에만 Firebase에서 이미지 다운로드✅ 기기에 로컬로 저장✅ 다음부터는 로컬에서 빠르게 불러오기✅ 이미지가 바뀌면 Firebase와 동기화 1. 준비물🔧 사용 패키지 설치 (pubspec.yaml) dependencies: flutter: sdk: flutter firebase_core: ^2.0.0 firebase_storage: ^11.0.0 cloud_firestore: ^4.0.0 http: ^0.13.0 path_provider: .. 2025. 5. 20.
Flutter 앱에 Firebase 연결 후 빌드 에러 발생? clang: error: unsupported option '-G' for target 'arm64-apple-ios13-simulator' 문제 해결 방법! 문제 설명Firebase를 Flutter 프로젝트에 연결한 후 iOS 시뮬레이터에서 빌드하려는 순간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만난 적 있나요?clang: error: unsupported option '-G' for target 'arm64-apple-ios13-simulator'이 오류는 주로 Apple Silicon (M1/M2) 칩셋을 사용하는 Mac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Firebase와 Apple Silicon의 아키텍처 호환성 문제에서 비롯됩니다.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이 문제는 몇 가지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원인 분석아키텍처 문제Apple Silicon (M1/M2) 기반의 Mac은 기본적으로 arm64 아키텍처를 사용하지만, iOS 시뮬레이터는 x86_64 .. 2025. 5. 12.
Hive 데이터 포맷 변경으로 인한 크래시 방지 방법 (AppSetting, UserSetting 안전 마이그레이션) 문제 상황앱을 개발하면서 가장 흔히 겪는 문제 중 하나는 데이터 모델의 변화입니다. 특히, 로컬 데이터 저장소로 Hive를 사용 중이라면 모델에 필드를 추가하거나 필드의 순서를 변경할 때 기존 데이터와의 충돌로 앱이 크래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래시 상황 예시초기 버전: AppSetting 또는 UserSetting 모델에 country 필드가 없었습니다.새 버전: country와 같은 새로운 필드가 추가되거나 필드 순서가 변경되었습니다.결과: 앱이 실행될 때 _box.get(key)가 잘못된 바이너리 포맷을 읽어 HiveError를 발생시키며 크래시합니다.이 문제는 앱 업데이트 후 데이터 모델이 변경될 때 특히 위험하며, 이를 방치하면 많은 사용자 이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 2025.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