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0 year old flutter developer challenge16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화이트 노이즈개발과의 싸움 학습 타임 관리 앱의 핵심 기능, 화이트 노이즈요즘 내가 개발하고 있는 학습 타임 관리 앱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화이트 노이즈 기능이 되었다. 사용자가 집중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소리를 혼합하여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처음에는 just_audio 패키지를 이용하여 화이트 노이즈를 구현했다. 앱을 닫아도 백그라운드에서 재생이 유지되었고, 에뮬레이터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하지만 실기 테스트를 진행해보니, 약 20분 정도가 지나면 OS에서 백그라운드를 종료시키면서 재생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just_audio_background의 한계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ust_audio_background 패키지를 추가하여 백그라운드 재생을 시도했다. 하지만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다.. 2025. 2. 11.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Study Duck 학습 타이머 관리 앱, 백엔드 전환 이슈 프로젝트 중 멤버 이탈, 그리고 백엔드 전환플러터 개발자의 길을 걷고 있는 나는 현재 Study Duck이라는 학습 타이머 관리 앱을 개발 중이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프로젝트 중간에 중요한 멤버를 잃어버리는 이슈가 생긴 것이다.백엔드 선택: Firebase vs Node.js처음 기획 단계에서 백엔드를 Firebase로 할지 Node.js로 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사실 나는 파이어베이스를 선호했지만, 팀원 중 백엔드를 다룰 수 있는 개발자가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Node.js로 결정되었다. 그런데 이번에 문제가 터졌다.백엔드 개발자의 이탈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백엔드 개발자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그 결과, 남아 있는 멤버 중 아무도 Node.js 백엔드를 다룰.. 2025. 2. 11.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플러터에서 GPS 백그라운드 작업 구현: WorkManager, Background Fetch, Isolate를 사용한 경험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설 연휴를 맞아 실제 기기에서 플러터 프로젝트를 테스트해보면서 느낀 점을 공유하려고 합니다.주제는 바로 GPS 위치를 백그라운드에서 받아 Hive에 저장하는 코드 구현과 그 과정에서 사용한 Flutter 패키지들입니다.이번에는 WorkManager, Background Fetch, 그리고 Isolate 세 가지를 사용했는데, 각 패키지의 장단점과 백그라운드 작업의 어려움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구독!! 공감과 댓글,광고 클릭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1. WorkManager: 백그라운드 작업의 시작플러터에서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패키지 중 하나가 WorkManager입니다.제가 처음 이 패키지를 접했을 때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간단한 설정.. 2025. 2. 3.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Hive 패키지 문제 해결 여정 안녕하세요, 플러터 개발자를 꿈꾸는 50세의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허밍버드 팀과 함께 학습관리 앱을 개발하면서 겪었던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려 합니다.Hive 패키지에서 발생한 문제우리 팀은 학습관리 앱 개발 도중 Hive 패키지를 사용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앱을 종료하고 다시 실행하면 Hive에 저장했던 데이터가 null로 변하는 이상한 증상이 나타난 것입니다. 이 문제는 처음에 쉽게 해결될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복잡한 원인이 숨겨져 있었습니다.문제 원인 파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이틀간 다양한 시도를 했습니다. 여러 로그를 분석하고, 공식 문서를 다시 검토하며 원인을 찾으려 노력했죠. 결국, 문제의 핵심은 model이 자동으로 Dynamic으로 변경되면서 캐스팅이 이.. 2025. 1. 17.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플러터 개발자로 성장하기: Git 협업 도전기 Git, 혼자서 쓸 땐 몰랐던 어려움플러터 개발자로 성장하는 여정을 기록하면서 이번 주는 정말 특별했다. 혼자서 Git을 사용할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팀원 4명과 협업을 시작하면서 내가 Git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특히 브랜치를 병합하거나 충돌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난관에 부딪혔다.독감과 함께 찾아온 학습의 시간안타깝게도 1주일 동안 독감에 걸려 두통으로 인해 작업 속도가 많이 느려졌다. 하지만 이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기로 마음먹었다. Git의 협업 부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유튜브 강의를 찾아보고, 인프런에서 관련 강의를 구매해 학습에 몰두했다.새로운 도구와 명령어의 발견학습 과정에서 VS Code에서 Git을 사용하는 방법과 "소스트리(SourceTr.. 2025. 1. 14. [50살에 플러터 개발 도전기] 앱 이름 선정 완료! 드디어 내가 개발 중인 앱의 이름을 선정했다. Study Duck. 이름을 정하면서 한동안 많은 고민을 했다. 하지만 이제 이 이름으로 정해지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이름에는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앱의 컨셉과 철학을 담았다.Study Duck의 컨셉앱의 컨셉은 간단하다. 사람들이 자신이 공부한 것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며 서로 자극을 받아 더 열심히 공부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동기 부여를 얻고, 서로의 학습 여정을 응원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다. 마치 오리들이 무리지어 다니며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모습처럼, 사용자들이 함께 목표를 향해 가는 플랫폼을 만들고 싶었다.이런 컨셉에 딱 맞는 이름이 Study Duck이었다. 오리 캐릭터를 떠올리니 앱의 정체성이 한층 더 뚜렷해졌다. 심지.. 2025. 1. 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