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API를 사용할 때 자주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는 ‘토큰(token)’입니다.
토큰은 AI 모델이 이해하고 처리하는 텍스트의 기본 단위를 의미합니다.
텍스트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데 있어서 AI는 이 토큰을 사용하여 정보를 분해하고,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합니다.
그렇다면 토큰이 정확히 무엇이고, 1토큰이 얼마나 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토큰(token) 정의
토큰은 텍스트에서 의미 있는 최소 단위로, AI 모델이 입력받은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나누는 기본적인 분할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I love programming”이라는 문장이 있을 때, AI는 이 문장을 토큰으로 나눕니다.
AI가 사용하는 토큰화 방식에 따라 분할되는 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단어와 구두점이 각각 별개의 토큰으로 분할됩니다.
- 예시: "I love programming!"
- 1토큰: "I"
- 2토큰: "love"
- 3토큰: "programming"
- 4토큰: "!"
따라서 텍스트에서 각 단어와 기호가 하나의 토큰으로 처리되며, 이 토큰들이 AI가 문장을 분석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1토큰의 길이는 얼마일까?
1토큰이 정확히 얼마나 긴 텍스트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의는 언어와 토큰화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대체로 1토큰은 약 4자 정도에 해당하는 텍스트 길이를 의미합니다.
이 길이는 영어를 기준으로 한 평균적인 값이며, 한국어와 같은 다른 언어는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의 1토큰
영어에서는 한 단어가 하나의 토큰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구두점, 공백 등도 별도의 토큰으로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 "Hello, how are you?" → [Hello], [,], [how], [are], [you], [?] (6개 토큰)
따라서 1토큰은 보통 영어에서는 약 4자 정도에 해당하는 길이로, 짧은 단어는 1토큰이 될 수 있지만, 긴 단어는 하나의 토큰으로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하나의 토큰으로 처리됩니다.
한국어에서의 1토큰
한국어는 영어와 달리 형태소 분석을 통해 토큰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어가 여러 개의 토큰으로 분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 "안녕하세요"는 하나의 단어로 보일 수 있지만, 한국어 모델에서는 이를 "안녕"과 "하세", "요"로 나누어 3개의 토큰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는 하나의 단어가 여러 개의 토큰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보통 1토큰은 2~4자 정도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한국어는 조사, 어미 등도 따로 처리되므로 길이가 짧은 텍스트라도 여러 토큰으로 분할될 수 있습니다.
3. 토큰의 중요성: API 요금에 미치는 영향
AI API에서는 토큰 단위로 비용이 계산되기 때문에, 토큰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비용이 커집니다.
예를 들어, GPT-3 API에서는 입력과 출력 토큰을 합산하여 요금을 부과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내는 텍스트와 AI의 응답 텍스트의 토큰 수가 많을수록 비용이 더 비싸지게 됩니다.
- 예시: GPT-3 API 요금
- 입력 토큰 1백만 개당 0.06달러
- 출력 토큰 1백만 개당 0.12달러
이처럼, 토큰 수에 따라 요금이 산정되므로, 효율적으로 토큰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큰은 AI 모델이 텍스트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영어에서는 1토큰이 약 4자 정도에 해당하며, 한국어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하나의 단어가 여러 개의 토큰으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토큰 수는 API 사용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AI API를 사용할 때는 토큰 수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당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춘 효율적인 학습, Study Duck과 함께하세요!"
MBTI에 따라 맞춤형 학습법을 적용하면, 학습 효과가 두 배로! 혼자 학습하면 빠르게 배울 수 있지만, Study Duck은 꾸준히 장기간 학습을 도와줍니다.
학습 타이머로 집중을 유지하고, 리더보드에서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며 꾸준함을 유지하세요.
지금 바로 Study Duck으로 학습의 새로운 장을 열어보세요!
Study Duck
Study Duck Study smarter with the best learning tool!
www.studyduck.net
'Development News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론 AI, LG가 그 답이다!"... 세계 최고 수준 ‘엑사원 딥’ 오픈소스로 공개 (3) | 2025.03.22 |
---|---|
오픈AI, 차세대 음성 모델 출시...한국어 오류율도 5% 미만! (0) | 2025.03.22 |
AI 코딩 시대, 개발자에게 필요한 건 '품질 감별력' (1) | 2025.03.21 |
사진 한 장으로 3D 비디오가? 스태빌리티 AI의 충격적인 기술 공개! (4) | 2025.03.20 |
440만 원으로 AI 혁명을? 엔비디아 개인용 슈퍼컴퓨터 가격 충격 공개! (4)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