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youtBuilder2

플러터에서 해상도에 따라 위젯 위치 자동 배치하기 [LayoutBuilder / MediaQuery] 플러터는 다양한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가진 기기를 지원하는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프레임워크입니다.따라서 앱 개발자는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춰 위젯을 적절하게 배치해야 합니다.플러터에서 위젯 위치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이 블로그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방법인 LayoutBuilder와 MediaQuery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LayoutBuilder 사용하기 LayoutBuilder 위젯은 자식 위젯의 크기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젯입니다.이 정보를 사용하여 화면 크기에 따라 위젯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class MyWidget extends StatelessWidget {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 2024. 7. 26.
플러터에서 반응형 디자인 구현하기 반응형 디자인은 다양한 화면 크기와 해상도에서 앱이 잘 보이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해요.예를 들어, 핸드폰, 태블릿, 그리고 큰 모니터에서 모두 잘 작동하도록 만드는 거죠.플러터는 이를 쉽게 도와주는 도구들을 제공해요. 이 글에서는 초보자부터 고급 개발자까지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할게요.1. 기본 개념 이해하기반응형 디자인이란?반응형 디자인은 앱이 어떤 화면 크기에서도 잘 보이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해요.작은 화면에서는 요소들이 작게 배치되고, 큰 화면에서는 요소들이 크게 배치되거나 추가적인 요소들이 나타날 수 있어요.MediaQuery 사용하기플러터에서는 MediaQuery 클래스를 사용하여 화면의 크기나 해상도 정보를 가져올 수 있어요.예를 들어, 다음 코드는 화면의 너비와 높이를 가져오는.. 2024.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