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보다 여럿이 낫다!” LLM 집단 지능 시대 도래
사카나 AI가 발표한 새로운 추론 기술 AB-MCTS(Adaptive Branching Monte Carlo Tree Search)는 기존 대형언어모델(LLM)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서는 집단 지능(AI Swarm) 시스템입니다.
이제 하나의 모델이 아니라, 여러 AI 모델이 협력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그 결과, 기존 단일 모델 대비 최대 30% 더 높은 정답률을 달성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AB-MCTS가 기존 방식과 어떻게 다른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구조와 작동 원리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이 기술을 활용한 멀티 LLM 협업 전략과 개발자 입장에서 실제 서비스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도 분석합니다.
AB-MCTS란? 쉽게 말해보자
AB-MCTS는 “문제를 풀 때 어떤 전략으로 답을 만들까?”를 스스로 판단하는 LLM 추론 최적화 방법입니다.
🔍 기존 방법과의 차이
깊이 탐색(Sequential Refinement) | 하나의 답을 계속 고쳐나감 | 잘못된 시작 → 빠져나오기 힘듦 |
넓이 탐색(Repeated Sampling) | 같은 질문을 여러 번 던져 다양한 답 생성 | 좋은 답이 나와도 정제 어려움 |
✅ AB-MCTS는?
- 위 두 전략을 혼합 + 상황에 따라 자동 선택
- 매 단계에서 “새 답 생성 vs 기존 답 수정”을 확률 기반으로 선택
- 알파고에 사용된 MCTS에 AI용으로 강화한 구조
- Thompson Sampling 기법으로 강화학습 기반 선택
🧩 기술적으로는 어떻게 작동할까?
- 문제에 대해 여러 모델이 각자 답변을 생성하거나, 기존 답을 다듬음
- 생성된 모든 답변을 평가하여 가장 유망한 답변 가지(branch)를 확장
- 반복 수행하며 탐색 경로를 최적화 → 정답률 극대화
💡 예시 코드 (개념 모사용 Pseudo-code)
# AB-MCTS 개념을 단순화한 흐름도 (실제 라이브러리는 TreeQuest 참고)
class ABMCTS:
def __init__(self, models):
self.models = models # 여러 LLM 리스트
self.history = [] # 생성된 답변 기록
def decide_strategy(self, state):
# 확률적으로 '생성' 또는 '수정' 선택
return random.choice(['generate', 'refine'])
def run(self, prompt):
current_answers = []
for step in range(50):
strategy = self.decide_strategy(prompt)
if strategy == 'generate':
model = self.select_model() # Multi-armed bandit 방식 선택
answer = model.generate(prompt)
else:
answer = self.refine_best_answer()
self.history.append(answer)
return self.select_best_answer()
위 구조는 실제 논문에서 설명된 Tree-based 탐색 알고리즘의 핵심 전략 로직을 단순화한 것입니다.
🤖 멀티-LLM 구조의 혁신: AB-MCTS + Model Swarm
사카나의 혁신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AB-MCTS를 여러 LLM 조합 구조(Multi-LLM)로 확장하여, 모델이 각자 역할을 나누어 수행하게 했습니다.
예시:
- 전략 수립: o4-mini
- 세부 계산: DeepSeek-R1
- 자연어 설명: Gemini 2.5 Pro
이 방식은 멀티암드 밴디트(MAB) 문제를 기반으로, 각 모델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가장 효과적인 모델에 리소스를 집중합니다.
📊 성능은 얼마나 좋을까?
반복 샘플링 | 23% |
단일 AB-MCTS | 27.5% |
멀티 LLM AB-MCTS | 30% 이상 |
- 특히, 집단 구성 내 성능 낮은 모델조차 보완적 역할 수행
- 오답을 보완하고 더 나은 최종 답변을 만들어냄
💼 개발자/기업 활용 전략
- 모델 병렬 호출이 가능한 구조로 API 설계
- 각 모델의 역할 정의 → 전략 모델 vs 검증 모델
- AB-MCTS 프레임워크 활용: TreeQuest 공개 예정
- AI 파이프라인에서 선택적 모델 전환 자동화
- AI 리소스 사용 최적화 + 정답률 상승 → B2B 서비스 적용에 유리
- 사카나의 AB-MCTS는 기존 추론 방식의 한계를 넘는 AI 최적화 기술
- 멀티 LLM 구성으로 모델의 약점을 상호 보완 → 집단 지능 구현
- TreeQuest 오픈소스로 공개 예정 → 개발자 적용 가능성 높음
- 기업은 모델 종속 없이 최적화된 AI 구조 설계 가능
당신을 위한 3줄 요약
- 사카나 AI는 AB-MCTS 기법을 통해 여러 LLM이 협력하는 집단 지능 구조를 구현했다.
- 이 방식은 기존 반복 샘플링 대비 30% 이상 정확도가 향상됐다.
- 개발자와 기업은 TreeQuest 프레임워크를 통해 유연한 멀티-AI 활용이 가능해진다.
3 line summary for you
- Sakana AI’s AB-MCTS enables multi-LLM collaboration to boost reasoning performance.
- Compared to repeated sampling, it improves accuracy by over 30%.
- Developers can implement this via the TreeQuest framework soon to be released.
째깍째깍...흘러가는 시간 붙잡고 싶다면?
Study Duck 학습 타이머 즉시 ON! 랭킹 경쟁 참여하고 학습 습관 만들 기회, 놓치지 마세요!
Study Duck팟빵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92491
Study Duck 유튜브
https://www.youtube.com/@studyduck-s6f
특수문자 검사기
https://maccrey.github.io/symbol-checker/
문의 메일 : maccrey@naver.com
'Development News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3초 만에 모기 격추하는 레이저 장치 등장! 61만원에 모기와 작별하자 (5) | 2025.07.07 |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대신 컨텍스트 엔지니어링”이 뜬다: AI 성능 혁신의 새로운 키워드 (2) | 2025.07.07 |
KT, 한국어 특화 LLM ‘믿:음 2.0’ 7월 4일 오픈소스 공개 예고 (5) | 2025.07.03 |
SKT, 한국어 특화 LLM 'A.X 4.0' 오픈소스로 공개…GPT-4o보다 효율 ↑ (1) | 2025.07.03 |
“역사를 다시 쓰겠다?” 일론 머스크와 그록 4의 위험한 선언 (3)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