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vOps27 [Git] 협업에서 이 코드는 누가 작성했을까? git blame과 git log로 알아내는 방법 Git을 사용한 협업에서는 가끔 "이 코드는 누가 작성했지?"라는 궁금증이 생길 때가 있습니다.코드가 예상과 다르게 동작하거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생기면 해당 코드를 작성한 사람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때 Git의 강력한 도구들을 활용하면 코드의 작성자와 변경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이를 위한 두 가지 주요 명령어, git blame과 git lo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git blame으로 코드 작성자 찾기git blame은 파일의 각 줄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커밋 정보와 작성자를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 코드의 출처를 추적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git blame 파일이름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의 각 줄 앞에 해당 줄을 수정한 커밋 해시, 작성자, .. 2024. 8. 27. [Git] 협업 필수 가이드: git pull vs git fetch, 무엇을 언제 사용해야 할까? Git을 사용한 협업에서 git pull과 git fetch는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둘 다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오는 기능을 하지만, 그 동작 방식과 사용 목적은 다릅니다.오늘은 이 두 명령어의 차이점과 각 명령어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git pull과 git fetch의 차이점 git pull과 git fetch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동 병합 여부에 있습니다.git pull: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가져오고, 자동으로 현재 브랜치와 병합(merge)합니다. 이 명령어는 git fetch와 git merge를 한 번에 수행하는 명령어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git fetch: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지만, 자동으로 병합하지는 않습니다. .. 2024. 8. 27. [Git] 협업 필수 지침: 왜 git push 전에 git pull이 필요한가? Git을 활용한 협업은 개발자들에게 매우 익숙한 일상이 되었지만, 그만큼 주의해야 할 사항도 많습니다.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규칙 중 하나가 바로 git push 전에 반드시 git pull을 실행하는 것입니다.오늘은 왜 이 과정이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필수적인지에 대해 깊이 알아보겠습니다.1. 협업 환경에서의 Git 흐름 이해하기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으로, 여러 명의 개발자가 동시에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각 개발자는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한 후, 원격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푸시(push)하거나, 다른 사람의 변경 사항을 풀(pull)해 옵니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경우는 여러 개발자가 동일한 파일이나 코드를 동시에 수정.. 2024. 8. 2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