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88

[추가학습] Dart 서버/ DevOps와 자동화된 서버 관리 / 인프라 자동화 오늘은 인프라 자동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프라 자동화는 서버 및 네트워크 환경을 코드로 관리하고 자동으로 배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이를 통해 인프라를 보다 쉽게 관리하고, 실수를 줄이며, 빠른 배포가 가능합니다.이 글에서는 Infrastructure as Code(IaC) 개념과 Dart와의 연계, Terraform과 Ansible을 사용한 인프라 관리 및 배포 자동화 방법을 설명할게요.1. Infrastructure as Code(IaC) 개념과 Dart와의 연계Infrastructure as Code (IaC)는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인프라를 프로그래밍하듯이 버전 관리하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IaC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버전 관리: 인프라 코드를 Gi.. 2024. 10. 7.
[추가학습] Dart 서버/ DevOps와 자동화된 서버 관리 / CI/CD 파이프라인 최적화 오늘은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CI/CD(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파이프라인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CI/CD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부분으로,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 과정을 통해 배포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이 글에서는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 파이프라인 구축과 GitHub Actions, GitLab CI/CD와 같은 도구를 활용한 CI/CD 구현 방법을 설명할게요.1.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 파이프라인 구축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 파이프라인은 코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하고 테스트를 수행하여,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배포를 원활하게 합니다.1.1 Dart 애플리케이션 구조 설정하기Dart 애플리케이.. 2024. 10. 7.
[추가학습] Dart 서버/ 서버 애플리케이션 보안 심화 / 서버 침투 테스트 오늘은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침투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침투 테스트는 보안 전문가가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시하는 테스트입니다.이 글에서는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분석, 침투 테스트 도구 활용(예: OWASP ZAP, Burp Suite), 그리고 보안 모범 사례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할게요.1.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분석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배포됩니다.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여러 가지 취약점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주요 취약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SQL 인젝션: 악의적인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조작하여 비밀 정보를 탈취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XSS.. 2024. 10. 7.
[추가학습] Dart 서버/ 서버 애플리케이션 보안 심화 / 데이터 암호화 및 보안 오늘은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위해 데이터 암호화와 서버 간 보안 통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데이터 암호화 기법인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 그리고 TLS/SSL 설정에 대해 쉽게 설명할게요.1. 데이터 암호화 기법데이터 암호화는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는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변환되고, 오직 특정 키를 가진 사람만이 그 데이터를 읽을 수 있게 됩니다.암호화 방법에는 주로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가 있습니다.1.1 대칭키 암호화대칭키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즉,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와 복호화할 때 같은 키를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빠르지만, 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대칭키 .. 2024. 10. 7.
[추가학습] Dart 서버/ 서버 애플리케이션 보안 심화 / 고급 인증 및 권한 관리 오늘은 Dart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더 깊이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특히 OAuth 2.1의 개념과 RBAC(역할 기반 접근 제어) 및 ABAC(속성 기반 접근 제어) 구현 방법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이 글을 통해 초보자 여러분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1. OAuth 2.1의 개념OAuth는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에 로그인할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예를 들어,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Google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Google 계정으로 인증을 하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Google이 여러분을 대신 인증해줍니다.이렇게 하면 여러분의 비밀번호가 다른 웹사이트에 노출되.. 2024. 10. 7.
엔비디아, 인공지능 메타휴먼 캐릭터 개발 위한 ‘언리얼 엔진 5 온디바이스 플러그인’ 공개! 최근 엔비디아가 언리얼 페스트 시애틀 2024에서 언리얼 엔진 5 온디바이스 플러그인을 발표했습니다.이 플러그인은 인공지능(AI) 기반의 메타휴먼(MetaHuman) 캐릭터를 더욱 쉽게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입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새로운 기술의 핵심 기능과 그것이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새로운 온디바이스 플러그인의 기능엔비디아의 온디바이스 플러그인은 윈도우 PC에서 짧은 지연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실행되도록 최적화되어 있습니다.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AI 기반의 메타휴먼 캐릭터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특히, 오디오투페이스-3D(Audio2Face-3D) 플러그인은 고품질의 오디오 기반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 2024. 10.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