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816 [고급] Dart 서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gRPC와 같은 서비스 간 이벤트 전달 및 메시지 큐 활용 (RabbitMQ, Kafka 등)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서비스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gRPC는 서비스 간의 직접적인 호출을 지원하며, 메시지 큐(예: RabbitMQ, Kafka)는 비동기적인 이벤트 전달을 지원합니다.이 블로그에서는 gRPC와 메시지 큐를 함께 활용하여 서비스 간의 이벤트를 전달하는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1. gRPC와 메시지 큐의 차이점gRPC와 메시지 큐는 각각 서비스 간 통신을 처리하는 방법이지만,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적합한 기술이 다릅니다.gRPC용도: 서비스 간의 직접적인 호출 및 응답장점: 실시간 통신, 요청-응답 패턴, 스트리밍 지원단점: 동기적인 통신,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직접적인 연결 필요메시지 큐용도: 비동기.. 2024. 9. 14. [고급] Dart 서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gRPC와 같은 RPC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서비스 간 통신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서로 독립적인 서비스들이 서로 통신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합니다.이때 서비스 간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gRPC와 같은 RPC(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레임워크가 사용됩니다.이 블로그에서는 gRPC의 기본 개념과 Dart에서 gRPC를 사용하는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1. gRPC란?gRPC는 Google이 개발한 오픈 소스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프레임워크입니다.gRPC는 효율적이고, 고성능의 통신을 지원하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고성능: HTTP/2를 기반으로 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을 제공합니다.다양한 언어 지원: Java, C++, Python, Dart 등 여러 프로그래밍 언.. 2024. 9. 14. [고급] Dart 서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마이크로서비스 개념과 Dart의 적용 가능성 현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핵심 트렌드 중 하나는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입니다.여러 대형 IT 기업이 이 아키텍처를 통해 시스템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의 개념과 Dart로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설명하여, 초보 개발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1.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란?마이크로서비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들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아키텍처입니다.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 관리, 확장할 수 있으며, 다른 서비스와는 최소한의 연결을 유지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의 주요 특징독립성: 각 서비스는 고유한 기능을 담당하며, 독립적으로 개발되고 배포됩니다.분산 아키텍처: 여러 개의 서비스가 네트워.. 2024. 9. 14. A/B 테스트의 한계와 극복 방안 A/B 테스트는 사용자 경험과 전환율을 개선하는 강력한 도구지만, 한계도 존재합니다.이러한 한계를 이해하고 보완할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을 보장하는 핵심입니다.1. 기존 선택지에서만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음A/B 테스트는 기존의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선택지 중에서 최선의 선택을 도출하는 데 탁월한 도구입니다.그러나 새로운 아이디어나 전략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더 나은 선택을 제공하긴 하지만, 큰 그림을 그리고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데에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극복 방법테스트 설정 단계에서 조건을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실험에 사용될 변수들은 목표와 일치해야 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선택지를 포함해야 합니다.구체적이고 명확한 기능이나 디자인.. 2024. 9. 14. [추가학습] Dart 코드 품질 및 테스트 / TDD(Test-Driven Development)의 개념과 실습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TDD(Test-Driven Development), 즉 테스트 주도 개발은 코드의 품질을 높이고, 유지 보수를 쉽게 하며, 버그를 줄이는 데 중요한 방법론입니다. Dart 언어에서도 TDD는 코드의 견고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TDD의 기본 개념부터 Dart에서의 실습 방법까지, 초보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합니다.1. TDD란 무엇인가?TDD(Test-Driven Development)는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뜻으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테스트를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코드를 작성한 후,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를 개선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 일반적인 개발 과정이 코드 작성 → 테스트 작성이라면, TDD는.. 2024. 9. 14. A/B 테스트 결과 분석 보고서 작성 가이드 A/B 테스트가 끝난 후, 실험의 결과를 명확하게 기록하고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이를 통해 팀원들이 실험의 목적, 과정, 결과를 이해하고 의사 결정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번 가이드는 A/B 테스트 결과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주요 항목과 실습 템플릿을 제공합니다.1. 실험 개요A/B 테스트의 전반적인 개요를 기록하는 부분입니다. 실험의 배경, 문제 정의, 목표, 가설, 그리고 실험 타임라인을 명확히 정리해야 합니다.1) 배경실험을 진행하게 된 이유를 설명합니다. 이 실험이 진행된 배경에는 어떤 요소들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하세요.예시: "전사적으로 202X년도 KPI를 달성하기 위해 예약률 증대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가 필요했습니다."2) 문제 정의실험을 통해 해결하.. 2024. 9. 14. 이전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3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