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72

[중급] Dart 서버 인증 및 보안/ Dart 서버 보안 모범 사례 (HTTPS 설정, 입력 검증, SQL 인젝션 방지 등) 서버를 구축할 때 보안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특히, 사용자의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이 블로그에서는 Dart 서버에서 HTTPS 설정, 입력 검증, SQL 인젝션 방지 등 보안 모범 사례를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1. HTTPS 설정HTTPS는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를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HTTPS를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중간에서 데이터가 도청되거나 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1.1 HTTPS 설정의 중요성데이터 암호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개인 정보 등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입니다.데이터 무결성: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조되지 않도록 합니다.신뢰성: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이트를 이.. 2024. 9. 12.
[중급] Dart 서버 인증 및 보안/ OAuth 2.0을 활용한 외부 서비스 인증 연동 OAuth 2.0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외부 서비스(예: Google, Facebook, GitHub 등)를 통해 안전하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이 블로그에서는 OAuth 2.0을 Dart 서버에서 구현하고, 외부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연동하는 방법을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1. OAuth 2.0이란 무엇인가?OAuth 2.0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자신의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도 외부 서비스(예: Google, Facebook 등)를 통해 인증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사용자가 외부 서비스에 로그인을 하고 애플리케이션에 권한을 부여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OAuth 2.0의 주요 개념Resour.. 2024. 9. 12.
[중급] Dart 서버 인증 및 보안/ JWT(JSON Web Token)를 사용한 사용자 인증 구현 Dart는 Flutter와 함께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인기가 있지만, Dart를 사용하여 백엔드 서버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서버를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인증 및 보안입니다.이 블로그에서는 JWT(JSON Web Token)를 사용한 사용자 인증에 대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1. JWT란 무엇인가?JWT는 JSON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토큰 형식입니다.JWT는 주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며,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토큰을 발급하고 클라이언트는 해당 토큰을 이용해 서버에 인증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JWT의 구조JWT는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문자열입니다. 각 부분은 . 으로 구분됩니다.header.payload.signatureHead.. 2024. 9. 12.
A/B 테스트에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이해하기 쉬운 설명 A/B 테스트는 두 가지 이상의 변형(변수)을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결정하는 실험 방법입니다.이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가설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가설 설정은 실험의 목표와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실험 결과를 해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A/B 테스트에서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에 대해 쉽게 설명하겠습니다.1. 귀무가설(Null Hypothesis)정의귀무가설은 실험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기본 가정입니다. 일반적으로, 귀무가설은 "변화가 없다" 또는 "효과가 없다"는 가정을 포함합니다. 즉, 두 가지 변형 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주장합니다.예시A/B 테스트에서 예약 버튼의 위치를 변경하여 클릭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테스트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귀무.. 2024. 9. 12.
A/B 테스트 실험 플랫폼 추천 실험 플랫폼의 장점1. A/B 그룹에 배분되는 사용자 일관성실험 플랫폼을 사용하면 A/B 그룹에 배분되는 사용자를 일관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며, 다양한 사용자 집단 간의 비교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2. 실험 중지 및 종료, 비율 조정의 실시간 관리실험 중간에 실험을 중지하거나 종료하거나 실험군의 비율을 조정하는 작업을 배포 없이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험의 유연성을 높이고, 예기치 못한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3. 실험 결과와 통계적 유의성의 실시간 확인데이터 추출 과정 없이 실험 플랫폼의 대시보드에서 실험 결과와 통계적 유의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과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2024. 9. 12.
A/B 테스트 설계서 작성 가이드 A/B 테스트 설계서를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은 실험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입니다.실험 설계서를 잘 준비하면 실험의 목표와 방법을 명확히 할 수 있으며, 팀원들과의 협업이 원활해지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아래는 A/B 테스트 설계서를 작성하기 위한 자세한 가이드와 실습 템플릿입니다.1. 실험 배경 및 가설배경이 섹션에서는 A/B 테스트를 수행하는 이유와 그 배경을 설명합니다. 실험의 필요성과 배경을 명확히 하여 팀원들이 실험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예시: "전사적으로 20XX년도 KPI를 달성하기 위해서 예약률 증대를 위한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문제 정의여기서는 실험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정의합니다. 문제를 명확히 정리하고, 실험의 필요성을 설명해야.. 2024. 9. 12.
반응형